드립커피
누구나 쉽게 커피를 만날 수 있는 쉬운 방법이다. 1908년 Amalie Melitta Bentz여사가 아들의 연습장과 냄비에 구멍을 뚫어 쓰는 필터커피기구를 발명한다. 그 후 전세계에서 사랑받는 커피 추출 방법이다. 이후 일본으로 넘어와 코노 드리퍼, 커피메이커 등으로 발전한다.
드립커피는 깔끔한 맛을 즐길 수 있다. 단, 커피오일과 고형분이 필터에 모두 걸러져서 강렬한 커피의 맛을 놓칠 수 있다.
준비물
- 커피(모래 굵기로 갈아서)-굵기가 맛에 영향을 준다.
- 드리퍼(칼리타, 멜리타, 코노 어떤 것이든)-물 빠지는 속도가 달라서 맛이 약간씩 다를 수 있다.
- 필터(드리퍼 모양과 일치하는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)
- 주전자(주둥이가 가는 주전자면 된다)
- 물 온도는 93도(일일이 온도를 잴 수는 없으니 펄펄끓는 물을 한 김을 내보내고 쓰면 됨)
- 그라인더( 조금 더 커피 본래의 맛을 원한다면 갖추어야 한다, 갈아져 배송된 커피는 향이나 맛이 현저히 떨어진다)
- 저울, 시계 (있다면 더 균일한 맛을 만들 수 있다.)
추출 순서(1인분을 기준)
- 커피 20g(3티스푼)을 모래알 굵기로 간다. – 굵어질수록 물이 빨리 빠져나가 맛이 깨끗해지지만 싱거워질수 있다.가늘어지면 맛과향이 진해지지만 깨끗하지 못한 맛이 날 수 있다.
- 드리퍼 위에 필터지를 넣는다. 물을 100℃로 끓인 후 필터지를 먼저 적신다. (필터의 종이냄새를 없애며, 드리퍼의 온도를 미리 높여두어 추출온도를 유지하게함) 물이 다 빠져나갈 때 까지 둔다.
- 필터지 위에 갈아 둔 커피를 붓고, 좌우로 흔들어 평평하게 한다.
- 저울위에 서버나 컵을 두고, 그 위에 드리퍼를 놓는다.
- 물 40g을 부어 커피를 적신다. (아래로 커피가 거의 떨어지지 않게 가운데에서 조금씩 떨어 트리면 됨) -이때 커피가 신선하다면 빵처럼 부풀어 오르며 조그만 방울들이 솟아오른다.
처음 물 40g을 붓는다. 거품이 다끓어 오르길 기다린다. 두번째 물 100g을 가운데부터 붓는다
- 더 이상 부풀어 오르지 않으면, 물 100g을 더 붓는다. (이 때도 가운데에서 조그만 원을 그리며 붓는다면 뻥처럼 부푼 커피가 가운데에서 빠깥으로 벌어지며 흰 거품이 생기는 것을 볼수 있다.)
- 가운데 생긴 거품층이 아래로 가라앉으면 물 100g을 더 붓는다.
- 타이머를 사용했다면 2분이 지나면 더 이상 기다리지 말고 드리퍼를 분리한다. 타이머가ㅣ 없다면 아래의 서버가 가리키는 1인분을 지나면 바로 드리퍼를 분리한다.
세번째 물 100g을 붓는다 .총 240g을 다 부어놓고 2분이 지나면 드리퍼를 뺀다. 취향에 따라 물을 더해 연하게 마실 수도 있다
아이스 드립커피를 만드는 방법
- 서버에 미리 얼음을 채워 놓고, 드립을 하면 추출과 동시에 냉각되어 맛과 향이 우수함.
- 이때 이미 서버에 얼음이 들어 있으므로 커피와 물의 비율을 잘 맞추어야 함-커피 20g에 뜨거운 물 180g을 추천합니다.
- 추출 후엔 컵에 새로운 얼음을 담아두고 그 위에 서버에 추출된 커피를 부어야 차가운 커피가 됨. (서버의 얼음은 추출용일 뿐)